CURA 를 실행하면
프린팅 설정 옵션에서
재료 라는 항목의 프린팅 설정 세부 옵션이 있습니다.
재료 Material 항목을 클릭하면,
3D 프린팅할때 설정해야할 온도 Temperature 옵션 들이 펼쳐집니다.
개인적으로는 재료 라는 이름은 적합하지 않은 듯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재료 항목을 클릭할때 펼쳐지는 세부 옵션 이름을 포괄하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온도 설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떠오르는 단어도 아닌거 같습니다.
재료 항목의 세부 옵션을 보겠습니다.
1. 프린팅 온도 Printing Temperature
정확하게는 프린팅 온도는 노즐의 온도입니다.
3D 프린팅이 시작하고 프린팅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하는 노즐의 온도입니다.
노즐은 히팅 블록과 조립되어있으며,
프린팅 온도에서 설정한 온도값으로 히팅 블록의 온도를 유지합니다.
설정한 온도로 노즐을 유지하면서,
필라멘트를 압출하면,
이때 필라멘트가 압출되는 온도가 노즐의 온도와 같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3D 프린팅할때 필라멘트를 압출할때 필라멘트를 녹이는 온도인 것입니다.
2. 초기 프린팅 온도 Initial Printing Temperature
초기 프린팅 온도는 위의 프린팅 온도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똑같이 입력되는 설정 항목입니다.
그러나, 변경이 가능합니다.
3D 프린팅을 할때, 빌드 플레이트 베드 위에 직접 필라멘트를 프린팅을 할때와
프린팅한 후 필라멘트가 몇층 쌓였을때 그 위에 필라멘트를 프린팅 할때는
접착력 또는 온도 등 프린팅 환경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프린팅 온도는 대부분 프린팅 온도와 같은 값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3. 최종 프린팅 온도 Final Printing Temperature
최종 프린팅 온도 또한 앞에서처럼 프린팅 온도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똑같이 입력되는 설정 항목이며,
변경이 가능합니다.
3D 프린팅이 마무리 될때 상단 레이어 (윗부분 프린트된 층)은 가운데 층에 비하여,
공기중에 대부분 노출되어있습니다.
때문에, 상단 레이어는 빠르게 냉각될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서 최종 프린팅 온도를 설정할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프린팅 온도와 같은 값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4. 빌드 플레이트 온도 Build Plate Temperature
빌드 플레이트 온도는 프린팅의 바닥면인 빌드 플레이트 베드의 온도를 의미합니다.
즉, 프린팅이 시작되고 종료될때까지의 빌드 플레이트 베드의 온도입니다.
빌드 플레이트 온도는 노즐의 온도와는 별개로,
프린팅 되는 공간의 온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설정입니다.
즉,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빌드 플레이트 온도를 설정합니다.
5. 초기 레이어의 빌드 플레이트 온도 Build Plate Temperature Initial Layer
초기 레이어의 빌드 플레이트 온도는 프린팅을 시작하는 초기 레이어를 포함하여 몇개 정도까지 프린팅 할 때의 빌드 플레이트 베드의 온도를 의미합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빌드 플레이트 베드 위에 직접 필라멘트를 3D 프린팅하는 것과
프린팅된 필라멘트 레이어 위에 프린팅 하는 것은,
접착력 면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레이어의 빌드 플레이트 온도가 높을 수록,
필라멘트가 빌드 플레이트에 잘 붙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프린팅이 종료했을때,
빌드 플레이트 온도가 높은 온도에서 상온으로 급격히 떨어지면
3D 프린팅 완성 출력물에도 영향을 줍니다.
빌드 플레이트와의 접착과 프린팅 완료 후의 영향 등을 고려하고,
경험적인 결과를 고려하여,
초기 레이어의 빌드 플레이트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초기 레이어의 빌드 플레이트 온도는 빌드 플레이트 온도 보다 높게 설정합니다.
CURA 설정 프린팅 속도 print speed 세부 옵션 의미 설명 (0) | 2021.10.08 |
---|---|
자전거 헤드 라이트 디자인 설계 3D 프린팅 조립 설치 과정 (0) | 2021.10.08 |
자전거 반사판 디자인 설계 3D 프린팅 실습 제작하기 강좌 (0) | 2021.10.04 |
Cura 내부채움 Infill 프린팅 설정 옵션 의미 방법 (0) | 2021.10.03 |
Cura 설정 옵션 위 아래 Top Bottom 의미 설정 방법 (0) | 2021.10.03 |
댓글 영역